NO.1: 2014 브라질 월드컵 독일 스쿼드
레고처럼 제작,공장서 80% 만드는 탈현장
크레인으로 모듈 내려서 결합하는 데‘30분’
“거주자는 벽식과 라멘구조의 차이만 알 것”
국내시장 8055억…대중화에는 경제성 필요
컨테이너 박스와 같은 모듈러 주택 한 채를 이동식 크레인으로 들어 설치하는 현장을 가리키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최태영 세종특별본부 주택사업처 팀장은 8일 이같이 말했다.레고처럼 제작되는 모듈러 주택은 외벽·창호·배관 등을 공장에서 미리 만들어 현장에서 조립하는 대표적인 스마트 건설 기법이다.세종 행정복합중심도시 6-3 생활권에는 LH에서 416가구가 들어서는 지하 4층,지상 7층 규모의 국내 최대 규모 모듈러 주택을 조성하는 공사가 한창이다.지하주차장과 1~2층 상가는 현장에서 건설됐고,3~7층 주택을 모듈러 공법을 활용해 짓고 있다.
군산 공장에서 공정의 80% 이상이 제작된 모듈을 크레인으로 들었다가 내린 뒤에 골조 부위를 연결하고 좌우·상하 모듈러를 결합하는 데 걸린 시간은 30분이다.모듈러 공법을 사용하면 집 한채를 짓는 데 30분이면 된다는 의미다.전용면적 37㎡(11평형)인 모듈러 주택은 배관은 물론 욕실과 가구공사까지 끝난 채 공사 현장으로 이동해오기 때문에 현장에서 조립 후 내부 마무리공사만 하면 끝난다.
모듈러 공법은 탈현장화를 주도하기 때문에 공사기간 단축과 현장 인력 감축이란 장점을 갖고 있다.현재 공사기간은 기존 공법 대비 30%를 줄일 수 있다.공장에서 대부분 만들기 때문에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공장에서는 부품 생산이 자동화·표준화돼 있어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현장별로 들쭉날쭉하던 시공 품질은 일정해진다.라멘구조로 지어지기 때문에 층간소음이 기존 벽식구조인 아파트보다 적다.모듈러 주택 간 구조가 소음을 완충·상쇄하는 역할도 한다.실측 데이터를 측정한 결과 층간소음 기준치(49㏈) 이하로 안정적으로 나왔다.
LH에서 탈현장화를 위해 모듈로 주택을 적극 들이면서 지난해 국내 모듈러 건축 시장은 8055억원 규모로 전년(1625억원)보다 396% 성장했다.LH는 올해 경기 의왕초평지구에는 381가구 규모의 20층 국내 최고층 모듈러 주택을 추진하기로 했다.현재 최고층 모듈러 주택은 13층인데,2014 브라질 월드컵 독일 스쿼드모듈러 주택의 높이가 기술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해외에서는 모듈러 주택을 55층까지도 짓지만,우리나라는 건축법에 따라 13층 이상 건물은 3시간 이상의 내화 기준(화재 발생 시 버틸 수 있는 시간)을 갖춰야 하해 모듈러 주택 높이가 더 높아지기 힘든 상황이다.그 이상으로 높이면 경제성이 나오지 않아서다.모듈러 주택이 대중화되지 않은 이유도‘돈’이다.지금은 기존 아파트와 비교해 공사비가 30% 더 든다.LH는 2030년 이후 공기를 절반 수준으로 단축시키고 공사비를 현재 수준으로 맞추면 민간 시장까지 확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모듈러 주택은 조립식 주택이어서 안정성이 취약할 것이란 부정적 인식이 있지만,빌딩정보모델링(BIM) 등 스마트 기술과 보완 공법 개발로 안전성 문제는 상당히 해소됐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나아가 모듈러 주택은 기존 아파트가 30년 마다 재건축 논의가 나오는 것과 달리 주기별 부품만 교체하면 100년까지 사용 가능하다.이한준 LH 사장은 “건설 현장 노동자 수급 문제를 위해서라도 모듈러 주택이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LH가 공공주택을 중심으로 물량을 점진적 확대시키면 규모의 경제가 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