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휘파람 부는법
NO.2: 휘파람 부는법 디시
NO.3: 휘파람 부는법 더쿠
NO.4: 손가락 휘파람 부는법
NO.5: 손가락 휘파람 부는법 디시
NO.6: 혀로 휘파람 부는법
NO.7: 원신 휘파람 부는법
NO.8: 3008 휘파람 부는법
“기본적 어휘 오해” 교사들 토로
“중식 제공” 공지에 “한식 달라”
중·고등학생의 문해력이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학부모들 중에서도 기본적인 어휘를 오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토로가 나왔다.
자신을 어린이집 교사라고 소개한 A씨는 1일 일부 학부모와 소통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내용의 글을 온라인상에 게재했다.
A씨는 글에서 “보통‘OO를 금합니다’라고 하면 당연히 금지한다는 뜻이 아닌가.그런데 일부 학부모들은‘금’이 들어가니‘가장 좋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A씨는 또 “우천 시 OO로 장소 변경이라고 공지하면‘우천시에 있는 OO지역으로 장소를 바꾸는 거냐’고 묻는 분도 있다”며 “섭취·급여·일괄 같은 말조차 뜻을 모르고 연락해서 묻는 분들이 비율이 전에 비해 꽤 늘었다”고 호소했다.
그는 그러면서 “단어뿐만 아니라,휘파람 부는법말의 맥락도 파악을 잘 못 한다‘OO해도 되지만,하지 않는 것을 권장해 드립니다’라고 했더니‘그래서 해도 되냐,휘파람 부는법안 되냐’고 문의한 학부모가 네 명이었다”고 했다.
일부 학부모들의 문해력을 둘러싼 논란은 이전부터 있어왔다.조병영 한양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지난해 tvN‘유 퀴즈 온 더 블록’에 출연해 “수학여행 가정통신문에‘중식 제공’을 보고‘왜 중식을 제공하냐,휘파람 부는법우리 아이에게는 한식을 제공해 달라’고 하더라‘교과서는 도서관 사서 선생님께 반납하세요’라는 글을 보고 교과서를 사서 반납하는 일도 벌어졌다”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영상으로 정보를 취하고,휘파람 부는법글을 읽을 일이 없는 거다.긴 글 읽는 거 어려워하고.대학교에서도 논문 읽고 공부할 거라고 하면 표정이 안 좋아진다”며 “학부모님들도 아이들에게 글과 책 읽으라고 하지만 가정통신문조차 안 읽는다”고 했다.
조 교수는 지난달 26일 서울시교육청 문해력·수리력 진단검사 설명회에 참석해 “정답을 찾아내는 정도의 기능적 문해력으로는 살아가기 어렵다”며 “다양한 각도로 질문할 수 있는 문해력이 이 시대에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