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무료 슬롯 메타
<앵커>
1980년대 덕성원이라는 곳에서 아이들을 억지로 끌고 가서 강제 노역을 시키고,또 학대했다는 피해자들의 이야기,저희가 어제(25일) 들려 드렸습니다.오늘은 덕성원이 정부 보조금을 노리고,무료 슬롯 메타당시 아이들을 물건 거래하듯이 다른 기관과 주고받은 정황이 있단 내용 전해 드리겠습니다.
이현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안종환 씨는 7살이던 지난 1982년,빨간 승합차에 실려 형제복지원에서 덕성원으로 끌려간 날을 생생히 기억합니다.
[안종환/덕성원 피해자 : 김○○(덕성원 원장) 씨가 그때 마당까지 왔죠,무료 슬롯 메타형제복지원 앞마당까지.그거(승합차) 타고 이제 덕성원으로 가게 된 거죠.]
이렇게 형제복지원에서 덕성원으로,또 덕성원에서 형제복지원으로 보내진 건 안 씨만이 아니었습니다.
[덕성원 피해자 : 이게 뭔가 있는지 모르겠는데 항상 보면 형제복지원에 잠깐 있다가 우리 쪽(덕성원)으로 넘어오고.]
두 기관은 도대체 어떤 관계였을까요?단서를 찾기 위해 국가기록원을 통해 1980년대 형제복지원 등기부등본을 확인해 봤습니다.
그런데 1987년 형제복지원 이사 명단에서 발견된 김 모 씨,확인 결과 덕성원 설립자의 사위이자 당시 덕성원 원장이었습니다.
취재진이 확보한 1985년 부산시 사회복지협의회 명단을 보니 김 씨가 초대 회장이었고,박인근 형제복지원 원장도 회장단에 이름이 올라 있습니다.
두 시설 간 긴밀한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는 또 있습니다.
650여 명을 사망에 이르게 한 형제복지원 사건을 맡았던 수사팀이 당시 박 원장의 수표 사용을 추적한 내역,1986년 7월 18일,형제복지원의 박 원장이 덕성원 원장 김 모 씨에게 2천만 원을 대여하는 등 돈거래가 있었던 사실도 확인됩니다.
당시 수사팀 관계자는 SBS에,부랑인 수용자들은 보조금이자 노동력으로 돈을 벌어주는 사업의 도구였고,형제복지원과 다른 수용시설 간 수용자 거래가 빈번했던 사실이 확인됐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남찬섭 교수/동아대 사회복지학과 (형제복지원 피해자 실태 조사) : 영화숙에 있다가 형제복지원 갔다가 덕성원에 갔다가 그런 경우도 있고.돈벌이 수단,무료 슬롯 메타하나의 정부 보조금 받아내기 위한 근거,공사비를 아끼고 할 수 있는 어떤 아주 값싼 노동력….이렇게 취급한 거죠.]
한 해 150~200명 안팎의 아이들을 수용했던 덕성원은 이런 식으로 막대한 부를 쌓았다는 겁니다.
해운대 알짜 땅에 있던 덕성원 부지와 건물은 지난 2001년,무료 슬롯 메타한 건설회사에 67억 원에 매각돼 현재는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 있습니다.
당시 덕성원 원장을 맡았던 설립자의 아들 서 모 씨는 매각 과정에서 11억 원의 뒷돈까지 챙긴 사실이 검찰 수사에서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매각 부동산 가운데는 아이들을 강제 노역시켜 지은 여자 기숙사와 어린이집 건물도 포함돼 있습니다.
[덕성원 피해자 : 해운대 쪽을 아예 안 갔어요.너무 싫어서.행복했던 적이 한 번도 없었거든요.그래서 그냥 아예 이 기억을 지우고 싶었어요.]
재단 운영을 둘러싼 분쟁과 소송 과정에서 덕성원 일가가 재단 돈을 사적으로 사용한 정황들이 다수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덕성원 일가의 입장을 듣기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요양병원을 찾아갔습니다.
[○○요양병원 직원 : 그냥 가십시오.안 계시니까.원장님께서 안 된다고 합니다.]
어렵게 연결된 전화 통화에서도 피해자들에 대한 사과나 명확한 입장을 들을 수는 없었습니다.
[○○요양병원 원장 (덕성원 설립자 손자) : 제가 답변드릴 사안이 없어요.이미 진실화해위원회에서 조사 다 끝난 상황이고요.]
덕성원은 제2의 형제복지원이었다는 정황이 증언과 기록을 통해 확인되고 있지만,피해자들은 덕성원 재단의 어떠한 사과도 받지 못했고,정부 차원의 진상 규명도 여력이 없다는 이유로 벽에 막혀 있습니다.
[김재형 교수/한국방송통신대 문화교양학과 : 관리 감독을 국가가 해야 되는 책임이 발생하게 됩니다.국가가 먼저 적극적으로 사과를 하고 장시간에 걸쳐 이런 것들을 조사하고 배·보상을 할 수 있는 기구를 먼저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취재 : 최대웅,영상편집 : 오영택,무료 슬롯 메타디자인 : 조수인,VJ : 김준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