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볼루션 라이브 카지노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파이낸셜뉴스] 본초여담(本草餘談)은 한동하 한의사가 한의서에 기록된 다양한 치험례나 흥미롭고 유익한 기록들을 근거로 이야기 형식으로 재미있게 풀어쓴 글입니다.<편집자 주>
명나라 때 장경악(張景岳)이란 의원이 있었다.이름은 개빈(介賓)이고 호가 경악(景岳)이어서 주로 장경악이라고 불렸다.장경악(1563~1640년)은 조선의 허준(1539~1615년)과 동시대의 인물로 중국 최고의 명의 중에 한 명으로 칭송된 인물이다.
장경악은 절강성 회계지방에서 태어났다.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하고 영특했다.책 읽기를 좋아했는데,책을 읽을 때는 경서(經書)에만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책을 손에 잡히는 대로 읽었다.또한 책에 적힌 장구(章句)를 무조건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비판하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었다.그래서 장경악의 당돌한 질문에 주위의 어른들이 당황하기 일쑤였다.
장경악은 13세 되던 해에 아버지를 따라서 북경으로 갔다.장경악의 아버지 장수봉(張壽峰)은 아들이 총명한 것을 보고 보다 큰 곳에서 학문을 닦기를 바랐던 것이다.장경악은 북경에서 경서와 사서에 해박한 명의 김몽석(金夢石)으로부터 의술의 이론과 실기를 전수받았고,<황제내경>을 배우고 익혔다.이밖에도 제자백가(諸子百家)의 경서와 역사에 깊이 통달했으며 천문,지리,병법,역리 또한 탐독했다.
장경악은 30세에 북동부 지역을 유람하면서 돌아다녔다.그때 한반도에는 일본이 15만 대군을 이끌고 조선을 침략했다.일본은 자신들이 명나라를 침략하고자 하는데,조선이 길을 비켜달라는 요청을 거절했다는 것이 이유였다.바로 임진왜란이었다.
조선의 선조 왕은 의주로 파천을 해서 명나라에 도움을 요청했다.명나라는 조선의 요청으로 군대를 파병하게 되는데,이때 장경악은 명나라 군인으로 전쟁에 참여하게 되었다.장경악은 명나라 군대를 이끌던 총지휘관 송응창(宋應昌)의 젊은 참모로 활약했다.
조선 땅 의주에서는 어의 허준이 선조를 돌보고 있었다.허준은 당시 54세였고 장경악은 30세였다.훗날 당대 최고의 명의가 되었던 장경악이 만약 의주에서 허준을 만났다면 무슨 대화를 했을까?그러나 사실 장경악은 당시에 의학에 매진하기 전이었기 때문에 허준과 장경악과의 만남은 흥미로운 상상일 뿐이다.당시라면 허준도 <동의보감>을 집필하기 전이었다.
장경악은 군대에서 7년간 머물렀다.그러나 그는 군인으로서도 성취욕이나 보람은 거의 느낄 수 없었다.임진왜란도 끝났고 아버지가 연로하고 가세가 빈곤해져서 고향으로 되돌아갔다.게다가 귀국길에 요동 백성들의 처참한 생활상을 목격하고 명나라 조정의 당파싸움을 보고서는 그때까지 품었던 공명심(公明心)이 모두 허황된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장경악은 이때부터 의학에 매진했다.그때 나이 37세였다.어려서부터 이미 의서를 읽기 시작했지만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내경>과 함께 동원(東垣),단계(丹溪)의 의서를 읽으면서 그 세밀한 뜻을 탐구하고 신묘함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동원(李東垣)은 금나라 때 명의로 비위의 기능이 건강을 좌우한다는 보토파(補土派)의 창시자로 <비위론(脾胃論)>을 저술했고,주단계(朱丹溪)는 원나라 때 명의로 자음파(滋陰派)의 대가로 <단계심법(丹溪心法)>을 저술한 인물들이다.이들의 이론이라면 아무도 토를 달지 못할 정도였다.
어느 날 장경악은 어느 한 의서를 읽으면서 손을 입에 대고 키득거렸다.그 모습을 보던 한 의원이 물었다.“의원님은 무슨 즐거운 일이 있으신 겁니까?” 그러자 장경악은 “내가 동원이나 단계가 <내경>의 군화(君火)와 상화(相火)를 해석한 이론과 주장을 읽어보니 나도 모르게 그만 비웃게 되었소.그들의 불찰이 매우 심하구려.”라고 답하는 것이다.
그 의원은 장경악이 동원이나 단계의 주장을 읽고서 비웃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한번은 이런 일이 있었다.어느 해 여름,깊게 사귀었던 한 의원이 “‘양(陽)은 항상 남아돌고 음(陰)은 항상 부족하다’는 것은 단계로부터 나온 확고한 이론인데,자네는 반대로‘양(陽)은 항상 부족하고 음(陰)은 항상 남아돈다’는 말을 하니 어떻게 이렇게 상반되는 것인가?이를 통해 자기가 옳다고 억지를 부려 스스로를 뽐내려는 것인가?내가 보기에는 단계의 금과옥조와 같은 말이 틀리지 않은 것 같은데,단계가 살아 돌아온다면 자네와 같은 후학의 경망을 어떻게 용납할 수 있겠는가?”하고 핀잔을 주었다.
장경악은 속으로‘슬프구나.이 친구의 말을 들은 사람들이 쉽게 현혹이 되어 감탄할 것이기 때문이다.그러나 한편으로 기쁘구나.다행히도 이러한 논박이 있어 내가 다시 의혹을 풀 수 있게 되었으니 말이다’라고 생각했다.
그러면서 말하기를 “요즘 보면 단계의 이론 때문에 의원들이 너도나도 남아도는 양(陽)을 치료한다고 해서 습관적으로 고한(苦寒)한 약을 남발하고 있으니 감당할 수 있겠는가?우매한 병자들이 용렬한 의원들에게 차디찬 황련(黃連)을 처방받고서도 하소연을 못하는 것이 400년이 되었네.아무리 단계의 이론이라도 비판하지 못한다면 진정한 의원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했다.
친구 의원은 창피해서 얼굴을 붉히며 물러났다.시간이 흐르면서 장경악은 의학에 있어서 확고한 관(觀)이 생겼다.의술에 있어서 자신감이 넘치다 못해 자만에 빠지기도 했다.
그러던 중 동쪽 변방을 유람을 하던 중에 그곳에서 어떤 기인을 만났는데,기인이 “당신도 의도(醫道)를 공부하는가?의도는 어려우니 신중하게나.”라고 했다.
장경악은 “의(醫)는 비록 소도(小道)라도 성명(性命)이 관계되는데,저라고 어찌 신중함을 모르겠습니까?”라고 자신만만하게 대답했다.
그러자 기인이 장경악을 꾸짖으면서 “내가 보니 자네는 의(醫)를 알지 못하네.성명이 관계된다고 해 놓고 의를 어떻게 소도(小道) 운운하는가?먼저 참된 사람이 있는 후에야 참된 지혜가 있고 참된 지혜가 있는 후에야 참된 의사가 있는 법인데,어찌 의도(醫道)를 이처럼 어떻게 쉽게 말하겠는가?의도(醫道)는 어렵고도 크니 어찌 자신의 편협한 경험만으로 소도(小道)라고 할 수 있겠는가?자네는 큰 의도를 얻기 위해서 더욱 힘써야 할 것이네.”라고 하였다.
항상 자신감이 넘치던 장경악은 기인의 가르침을 듣고 부끄러워 물러나 몇 개월을 전전긍긍하며 보냈다.
장경악은 61세(1624년)에 <내경(內經)>을 재편집해서 <유경(類經)>과 <유경도익(類經圖翼>을 지었다.주위의 의원들은 장경악이 저술한 책들을 필사해서 금궤옥함(金匱玉涵)으로 여겨서 소중히 간직했다.이 후 장경악은 1636년 73세에 이르러 그동안 연구한 의술을 한데 모아서 책으로 엮어 완성을 했다.바로 그 유명한 <경악전서(景岳全書)>다.
누군가 “장경악은 평소에 병서에 능통했는데 어려서 배워 나이가 들어 사용하고자 했던 뜻을 이룰 수 없게 되자 그 이론을 의학으로 옮겨서 오화팔문(五花八門)의 기이함을 털어놓고 있구나.”하고 감탄했다.
오화팔문(五花八門)은 본래 고대 병법의 명칭으로 변화무쌍한 전략을 구사하는 것을 말한다.<경악전서>의 전충록(傳忠錄) 편에 보면‘옛날에 병법의 팔문(八門)이 있다면,에볼루션 라이브 카지노내게는 의가(醫家)의 팔진(八陣)이 있다’는 구절이 나온다.장경악은 의서를 쓰는 것을 마치 병서를 쓰는 것처럼 했다.
그러나 당시는 명나라 말기로 어지러운 정세와 재정 문제가 겹쳐 있어서 장경악은 책의 집필을 끝내고 나서도 집안이 넉넉하지 않아서 출판을 하지 못했다.그래서 그 정리본을 결혼한 딸에게 물려주고서는 1940년 78세의 나이에 죽고 말았다.
안타깝게도 장경악의 딸도 출판할 만한 여력이 없어서 딸은 아들 임일위에게 물려주었다.임일위는 1700년에 외할아버지의 <경악전서> 정리본을 들고 광동성 광주지역으로 가지고 가서 그 지역의 포정사(布政使) 직책을 맡고 있던 노초(魯超)에게 사정을 말했다.
그러자 노공이 “이 책은 세상을 구하는 자비로운 배와 같다.천하의 보물은 당연히 천하가 함께 공유해야 한다.”라고 하면서 자신의 녹봉을 기부해서 책으로 출판하자고 했다.
드디어 장경악이 <경악전서>를 완성한 후 60여년 만에 초간본이 간행되었다.그래서 이 초간본을 요즘 노본(魯本)이라고 부른다.이로써 <경악전서>는 불세출의 명작으로 칭송받으며 세상에 퍼지기 시작했다.
당시 조선의 허준은 <동의보감>을 지으면서 당대까지 쓰인 많은 의서를 참고했다.그런데 참고문헌에 <경악전서>는 없다.허준의 <동의보감>이 1610년에 완성이 되었고,장경악의 <경악전서>는 1636년에 완성이 되었지만 1700년이 되어서야 제대로 출판이 되었기 때문에 <동의보감>에는 <경악전서>를 참고문헌으로 찾아볼 수 없는 당연했다.허준은 죽을 때까지 장경악과 <경악전서>의 존재를 모르고 죽은 것이다.그렇다면 반대로 장경악은 <동의보감>의 존재를 앓고 있었을까?이들이 서로의 의서를 읽었다면 어떠했을까 궁금해진다.
* 제목의 ○○은‘군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