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야구 벨트
NO.2: 야구 벨트 이유
NO.3: 야구 벨트 매는법
NO.4: 야구 벨트 길이 조절
NO.5: 야구벨트 디시
NO.6: 야구 선수 벨트
NO.7: 야구 유니폼 벨트
NO.8: 언더아머 야구벨트
KAIST 이정호 의과학대학원 교수팀
“극미량도 뇌기능 이상 유발” 규명
뇌를 포함한 모든 신체 기관은 세포 분열 과정에서 발생하는 돌연변이(모자이시즘)을 피할 수 없다.그렇다면 과연 몇 개의 신경세포에 질병 유발 돌연변이가 생겨났을 때부터 전체 뇌신경 회로를 망가트려 뇌 기능 이상을 일으킬 수 있을까.
KAIST는 이정호(사진)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뇌세포 특이적 돌연변이(뇌 체성 모자이시즘)에 의한 소아 난치성 뇌전증 동물 모델과 환자 뇌 조직 연구를 통해 0.1% 이하 비율의 극미량 돌연변이 신경세포에 의해서도 뇌 전체 기능 이상을 유발해 뇌전증 발작이 발생할 수 있음을 규명했다고 9일 밝혔다.
이를 통해 난치성 뇌전증의 돌연변이 유전자 진단에 있어 새로운 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극미량의 돌연변이 신경세포가 다양한 뇌 질환 유발에 관여할 수 있음을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과연 얼마나 적은 수의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 모자이시즘이 누적됐을 때 이것이 전체 뇌 기능 이상을 유도하는 뇌 질환 발생으로 이어질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답하고자,야구 벨트마우스 질병 모델과 인체 조직을 이용한 중개의학적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팀은 실험용 쥐의 뇌 조직에 뇌전증 유발 체성 모자이시즘을 최소 수백 개에서 최대 수만 개의 세포에 유발했다.이때 8000~9000개 수준의 돌연변이 신경세포가 나타날 때부터 실험용 쥐가 뇌전증 발작을 일으키고,야구 벨트관련된 병리가 나타남을 관찰했다.더 나아가 최소 0.07%에 이르는 뇌전증 유발 체성 모자이시즘을 관찰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KAIST 교원 창업기업인 소바젠을 통해 난치성 뇌전증 환자의 체성 모자이시즘 변이를 정밀 타겟하는 혁신 RNA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예정이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의 제1저자인 김진태 KAIST 의과학대학원 연구원(박사)은 “극미량의 체성 돌연변이라도 뇌의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음이 알려졌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신경의학 분야 국제 학술지‘브레인’6월 25일자에 게재됐다.구본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