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엠폴리 대 레체
NO.2: us 레체 대 엠폴리 순위
NO.3: us 레체 대 엠폴리 라인업
NO.4: us 레체 대 엠폴리 경기
NO.5: us 레체 대 엠폴리 타임 라인
"세계 3대 나노기술 행사"
356개 기업·기관 참가[서울경제]
28개국 356개 기업·기관이 참가한 국내 최대 규모의 나노기술 전시회가 3일 개막했다.기조강연자인 송재혁 삼성전자 최고기술책임자(CTO)를 포함해 국내외 전문가들이 나노기술 최신동향과 발전방안을 공유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날부터 5일까지 3일 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나노기술이 꿈을 현실로 만든다’를 주제로‘나노코리아 2024’를 개최한다고 밝혔다.나노코리아는 국내 최대 규모의 나노 분야 연구자 및 기업 간 교류·협력의 장으로 올해 22번째로 열렸다.
과기정통부는 이 행사가 미국 테크커넥트월드,일본 나노테크재팬과 더불어 세계 3대 나노기술 행사라고 강조했다.삼성전자,LG전자 등 28개국에서 356개 기업·기관이 참가해 나노,접착·코팅·필름,엠폴리 대 레체레이저,세라믹,센서 등 5개 분야 661개의 부스를 운영하고 1326편의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개막일인 이날 송 CTO와 킴벌리 부딜 미국 로렌스리버모어국립연구소장이 나노기술 혁신 방향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맡았다.전문강연과 주제발표 등이 이뤄지는 국제 심포지움에도 코넬리우스 닐쉬 독일 드레스덴 라이프니츠 고체 및 재료연구소장,샤오동 첸 싱가폴 난양공대 교수,지엔웨이 예 대만 국립 칭화대 교수 등 세계적 권위자들이 강연자로 참가했다.미국화학회(ACS) 주최의‘ACS 나노 서밋 2024’가 협력 세션으로 개최돼 전 세계 1만여 명의 전문가들이 우수성과를 공유한다.
기술 혁신과 산업 발전에 기여한 전문가에 대한 정부 포상도 이뤄진다.김우열 한국에너지공대 교수가‘나노촉매의 속도론적 해석을 통한 태양광·재생전기 유도 실내 조리흄 정화기술,엠폴리 대 레체마이크로투나노가 반도체 생산의 필수 검사 장치‘프로브 카브’개발의 공로로 국무총리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글로벌 기술패권 시대 나노기술이 반도체,디스플레이를 넘어서 전 산업 분야로 혁신을 확산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며 “새로운 나노 혁신 기술을 발굴하고 생태계 전반을 재조망하는‘나노 2.0 기술 혁신 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