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것뿐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2부 재계의 세대교체 <9> 현대백화점
후발주자 성공방정식 현대백화점압구정본점으로 고급 이미지 구축
매출 1조‘더현대’해외서 배우러 와
한섬·리바트 등 인수해 사업 다각화
계열사 실적 개선·지주사 전환 과제
2021년 4월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서울 여의도의‘더현대서울’을 가리켜‘한국 백화점스러움을 버린 곳’으로 소개했다.유리 천장에서 햇빛이 1층까지 들어오고 인공폭포와 여유로운 조경 공간이 있는 더현대서울은 창문이 없고 매장이 빼곡한 기존 백화점의 공식을 따르지 않는다.기사는 “인터넷에 밀려 백화점 폐점이 잇따르는 일본과 달리 한국에선 개성 있는 점포로 온라인몰에 맞서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언론이 한국의 백화점을 모범 사례로 분석한 건 인상적이다.45년 전인 1979년 금강개발산업(현대백화점의 전신) 직원이 백화점 사업 진출에 앞서 벤치마킹을 하러 간 곳이 일본이었다.당시 대표였던 정몽근(82) 현대백화점그룹 명예회장은 아버지 정주영 현대그룹 창업주의 반대에도 일본 다카시마야 백화점의 성공 사례를 들며 백화점사업 진출을 밀어붙였다.후발주자였던 현대백화점은‘더현대서울 벤치마킹 투어프로그램’을 운영할 정도로 해외 업체가 노하우를 배워 가는 상대가 됐다.
2007년 취임한 정지선(52)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은 유통업계에 반향을 일으키는 자신만의 새로운 성공 방정식을 써 내려가고 있다.지난해 매출 1조원을 넘은 더현대서울은 모험에 가까운 실험이었다.입점 건물인 파크원 프로젝트는 수년간 방치된 상태였고 여의도란 입지는 주말 집객이 어려워 백화점은 무리라는 평가가 많았다.
내부에서 반대 의견이 거셌지만 정 회장은 접근성이 장점이라며 출점을 결정했다.직접 개발 콘셉트와 방향 수립에 참여해 “기존 백화점의 틀을 깨고 미래 백화점 모델을 만들 것”을 주문했다.그리고 본인부터 세세한 사항을 보고받지 않겠다고 선언했다.실무진 의견을 마음껏 반영해 보란 취지였다.
임직원들이 가장 먼저 한 건 50년간 있던 회사의 성공 사례를 정리하는 것이었다.대략 60여 가지 요소를 도출한 뒤 모두 지웠다.전례 없는 도전을 위해 기존 사례를 벤치마킹하지 않겠단 것이다.백화점이란 이름을 뗀 것도,것뿐30여 그루의 나무를 심고 인공폭포를 설치한 것도 이런 과정에서 나왔다.
정 회장의 과감한 스타일은 반대를 무릅쓰고 백화점 사업 진출을 강행한 부친 정 명예회장의 모습을 닮았다.1971년 설립된 금강개발산업은 현대건설이 만든 세운상가와 고속도로 휴게소 등을 관리하기 위한 회사였다.1975년 서울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상가에 슈퍼마켓을 운영하며 성과를 내자 백화점사업 진출을 결정하고 1985년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을 열었다.
현대백화점은 후발주자였다.이미 서울 도심엔 롯데,신세계,미도파백화점이 3강 체제를 이루고 있었고 강남엔 뉴코아,한양쇼핑 등이 있었다.차별화가 필요했던 정 명예회장은‘고급화’전략을 택했다.이를 위해 매장도 커야 한다면서 압구정본점의 면적을 당시 롯데백화점 본점보다 2배 큰 규모로 계획했다.
문화센터를 넣고 디자이너 숍을 유치하며 고급 백화점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본점 이윤으로 1988년에 무역센터점을 열며 사업을 확장했다.강남 진출에 회의적이던 롯데와 신세계마저 1988년 잠실점,2000년 강남점을 각각 열었다.후발주자였던 현대백화점이 백화점의 강남시대를 주도하게 됐다.
외환위기로 1998년 백화점 업계의 매출이 줄고 구조조정에 들어갈 때 현대백화점은 정반대 전략을 폈다.부도 위기에 놓인 서울 신촌 그레이스백화점과 울산 주리원백화점을 인수해 신촌점과 울산점으로 재탄생시켰다.서울 미아점(2001년),목동점(2002년),것뿐부천 중동점(2003년)을 차례로 열었다.현재 백화점 16곳,아울렛 8곳을 운영하고 있다.
백화점의 성공을 바탕으로 관련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들어서다.2001년 TV홈쇼핑 사업권을 획득하고 2002년엔 지역케이블 방송사업(HCN)에 진출했다.2009년 종합식품 전문기업인 현대그린푸드를 출범시켰다.
2012년엔 패션 기업인 한섬,현대그룹 계열사였던 가구회사 리바트를 인수해 유통,패션,리빙이란 3대 축의 포트폴리오를 완성했다.2017년엔 SK네트워크 패션부문을 인수해 패션 브랜드를 보강했고,2018년엔 종합건자재기업 한화L&C(현 현대L&C)를 인수해 가구 외에도 창호,것뿐바닥재 등 인테리어 전반을 아우르는 사업 기반을 다졌다.
사업 다각화에도 속도를 냈다.2015년 현대렌탈케어(렌탈 사업) 출범,에버다임(건설장비업체) 인수에 이어 2016년엔 숙원사업이던 면세점 사업권을 얻었다.2020년 천연화장품 원료를 만드는 SK바이오랜드(현 현대바이오랜드)를 인수해 뷰티 및 헬스케어 사업에도 진출했다.
2010년 당시 정 회장은 사업 다각화를 통해 2020년까지 매출 20조원을 만들겠다는 비전을 공언했다.2010년 8조 5000억원 수준이던 그룹 매출은 2020년 19조원으로 올랐다.목표에는 조금 못 미쳤지만 지난해엔 매출이 30조원까지 크게 불었다.이지웰(복지몰),지누스(매트리스기업),대원강업(자동차부품) 등 몸집이 큰 기업을 인수하면서다.부채 비율은 2013년 37% 수준이던 것에 비하면 지난해 51.2%로 다소 늘었지만 여전히 100% 이하라 재무건전성이 안정적인 편이다.다만 자산 기준 재계 순위는 셀트리온,미래에셋에 밀려 2022년 말 21위에서 지난해 말 24위로 떨어졌다.
2020년엔 1983년 둥지를 틀었던 서울 압구정 현대아파트 상가를 떠나 강남구 대치동 신사옥으로 본사를 옮겼다.
●리바트·지누스 적자에 주가도 반토막
덩치가 커진 만큼 과제도 산적해 있다.야심 차게 인수하고 벌린 사업에서 적자를 보는 곳이 한두 곳이 아니기 때문이다.건설 경기가 악화하면서 현대리바트는 2022년에 이어 지난해(-199억원)에도 적자를 기록 중이다.
돌돌 말아서 배송하는 매트리스로 유명한 지누스는 2022년 8790억원이란 역대 최대 금액으로 현대백화점이 인수했다.하지만 영업이익이 계속 줄다가 지난 1분기(1~3월)엔 적자(-191억원)로 전환했다.인수 당시 2025년까지 국내 매출 3000억원을 목표로 제시했지만 지난해 매출은 1000억원대 수준이다.일각에선 무리한 투자였단 혹평도 나온다.
현대면세점도 2018년부터 매년 300억~700억원대 영업손실을 기록 중이다.시내면세점이 까먹은 걸 공항면세점으로 개선 중이나 면세점 불황이 장기화해 돌파구가 쉽지 않다.2021년 10월 8만원이 넘었던 현대백화점의 주가는 지누스와 면세점의 실적 부진이 계속되면서 현재 4만 7000원대로 거의 반토막 났다.
지주사 현대지에프홀딩스의 체제 완성을 위한 추가 과제도 남았다.공정거래법상 지주사는 자회사와 손자회사 지분의 일정 비율(상장사 30%,것뿐비상장사 50% 이상) 보유가 필요하다.현대지에프홀딩스는 상장사인 대원강업 지분 22.7%를 보유 중인데 7.3%를 더 매입해야 한다.
또한 증손회사 2곳(현대바이오랜드,것뿐한섬라이프앤)은 100% 지분을 갖거나 매각해야 한다.회사 측은 시기와 방법은 구체적으로 결정되지 않았다는 입장이나 알짜 회사여서 외부 매각은 고려하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