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도박 끊고 성공
NO.2: 도박 끊는 법
NO.3: 도박 중독 사례
NO.4: 도박 치료
NO.5: 도박으로 돈을 벌수 없는 이유
NO.6: 도박중독의 위험성
NO.7: 도파민 과 화학
NO.8: 도파민 분비 촉진
NO.9: 도파민 역치 낮추기
NO.10: 도파민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NO.11: 도파민 효능
NO.12: 도파민이 뇌에 미치는 영향
NO.13: 신경전달물질
NO.14: 신경전달물질 과다
NO.15: 신경전달물질 도파민
NO.16: 신경전달물질 신경조절물질
NO.17: 신경전달물질 약물
NO.18: 신경전달물질 조건
NO.19: 신경전달물질 화학반응
"노인 연령 기준 5년 주기로 재검토할 수 있는 체계 마련해야"
시민사회단체와 학계 전문가들이 노인 연령 기준을 현행 만 65세에서 70세로 상향하자고 공식 제안했다.기대수명이 늘고 건강 수준이 높아진 만큼,40년 전 도입된 기준을 그대로 유지하는 건 시대착오적이라는 지적이다.
이화여대 정순둘 교수,대한노인회 송재찬 사무총장 등 관련 단체와 전문가들은 9일 '노인 연령 기준에 대한 사회적 제안문'을 내고 "지속가능한 복지체계와 세대 간 공존을 위해 노인 연령 기준을 조정해야 한다"며 "현재 상황을 감안할 때 적정 기준은 만 70세"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 대한노인회,슬롯 나라 뽐뿌한국노년학회,한국노인과학학술단체연합회,한국소비자연맹 등 단체 및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노인 연령 조정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했고 그간 여섯 차례에 걸쳐 논의가 진행됐다.
1981년 제정된 노인복지법 이후 65세는 기초연금,장기요양보험,경로우대 등 각종 제도의 기준이 됐다.하지만 그동안 기대수명이 15년 이상 증가하고,최근 조사에서는 국민 다수가 70세 전후를 노인의 시작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을 기준으로 한 복지부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노인 스스로 인식하는 노인의 시작 연령은 평균 71.6세였다.중장년층 대상 설문에서도 적정 노인 연령은 평균 69.8세로 나타났고,응답자의 66.2%가 정부 정책상의 기준 상향에 동의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노인 연령 기준 조정이 단순히 복지 축소로 연결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정년 연장,재취업 지원,연금 수급 체계 개선 등과 연계해 소득 공백과 복지 사각지대를 막는 정교한 설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들은 "노인의 건강 수준,사회참여 정도 등을 고려해 연령 기준을 5년 주기로 재검토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제도별로 시차를 두고 단계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