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하포하포 케이스
10년 전 펴낸 '행복의 기원' 11만부 팔리며
내면으로부터의 행복론 뒤집어
한국 사회의 행복에 대한 생각 바꿨지만
타인 눈치 여전해···'힐링' 프레임은 심각
모두가 스스로 도움받아야 할 존재로 낙인[서울경제]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는데 그 뒤에 중요한 진실은 빠져 있습니다.칭찬으로 춤추는 고래는 단 한번 밖에 춤을 추지 않아요.”
‘행복 연구의 대가’로 꼽히는 서은국 연세대 교수는 최근 연세대 연구실에서 진행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남의 칭찬이 아니라 스스로의 즐거움으로 하는 게 중요한데 지난 십 년 동안 그 부분은 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다.우리나라 영재들이 수학 올림피아드에 나가면 전 세계에서 1~2위를 겨루지만 입시를 하고 나면 수학은 쳐다보지도 않는 이유가 타인의 칭찬으로 한 공부였기 때문이라는 것.사회적으로도 남들이 박수칠만한 분야에만 매진하기 때문에 노벨상이 나오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그가 연세대에서 가르친 수업 내용을 책으로 옮긴‘행복의 기원(2014)’은 11만 부 이상 팔리며 행복에 대한 생각을 바꿔 놓았다‘행복은 강도가 아니라 빈도다‘행복감은 환경에 따라 좌우된다’는 메시지는 내면을 통해 행복에 이를 수 있다는 생각을 다시 따져보게 했다.
하지만 여전히 갈 길은 멀다.서 교수는 오히려 더 위축되거나 행복하지 못한 학생들의 모습을 많이 발견한다고 설명한다.
개인주의가 확산되고 있지만 타인의 시선에 대한 의식은 더 커지고 있다.서 교수는“일거수일투족을 찍어서 인스타그램에 올려서 타인이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초미의 관심을 두면 완벽한‘을의 라이프’를 살 수밖에 없다”고 안타까움을 표했다.
우리 사회에서 당장 사라져야 할 것으로는‘조심해‘위험해‘하지마’를 쉽게 타인에게 강요하는 문화를 꼽았다.“한국만큼 하지 말라는 문구가 길거리에 덕지덕지 붙어 있는 나라가 없습니다.타인이나 자식에게도 이것을 강요해요.굉장히 피곤한 사회고 자유감이 없죠.이게 행복을 가로막는 사회적 미세먼지예요.”
그는 사라져야 할 것으로‘힐링(치유)’의 상품화를 꼽았다.서 교수는 “힐링 자체가 결핍이 있고 문제가 있는 상태를 전제하고 있다”며 “모두가 스스로 약자라고 분류하고 보살핌만 받으려 한다면 장기적으로 건설적이거나 행복감이 높은 사회로 가기 어렵다”고 했다.
서 교수는 사람으로부터 오는 행복감을 중요시한다.그는 상호작용 속에서 행복의 감정을 주는‘쾌’의 자극을 느끼도록 타고난 사람이 혼밥,하포하포 케이스혼행 등 모든 것을 홀로 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은 피곤한 사람과 같이 무언가를 하느니 혼자 하겠다는 차선책이라고 설명했다.그는 “거꾸로 얘기하면 서로가 서로를 얼마나 피곤하게 하고 있는가에 대한 방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