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트리 코딩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지난해 초 3명이었던 인력,엔트리 코딩35명으로 늘어
미국 외 벨기에·영국·프랑스·싱가포르 등에 상주
EU의‘AI 규제법’마련이 기폭제
이후 구글·메타에서 일한 담당자 영입 속도
각국 정부가 인공지능(AI) 관련 법안 마련에 속도를 붙이자,챗GPT 개발사인 오픈AI가 대관 업무를 담당하는 로비 팀을 구축하고 있다.
13일(현지 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오픈AI에서 대관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 수는 2023년 초까지만 해도 3명이었으나,현재 35명으로 늘었다.오픈AI는 2024년 말까지 50명으로 인원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팀의 이름은‘글로벌 업무팀’이다.오픈AI 전체 인력은 1200명이다.이 중 글로벌 업무팀은 오픈AI 중에서 가장 국제적인 부서다.미국 외에 벨기에·영국·아일랜드·프랑스·싱가포르·인도·브라질에 상주 직원을 두고 있다.
구글,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등 거대 IT 회사의 대관팀에 비하면 오픈AI의 글로벌 업무팀은 소규모다.메타는 올해 1분기에만 대관 업무와 관련해 미국 정부에 760만 달러를 지출했다.구글은 310만 달러,엔트리 코딩오픈AI는 34만 달러를 지출했다.AI 관련 옹호와 관련해 메타는 15명의 로비스트를 뒀다.구글은 5명,오픈AI는 2명만 지명한 상태다.
학계 출신으로 지난해 5월 오픈AI에 합류한 정책기획 책임자 데이비드 로빈슨은 “문에 들어서자마자,챗GPT에는 1억 명의 사용자가 있는 반면,회사에는 공공 정책을 담당하는 사람이 불과 3명뿐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오픈AI와 대화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많은데 회사에서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을 정도다”라고 설명했다.챗GPT가 전 세계에 미치는 영향력에 비하면 글로벌 업무팀의 규모가 작다는 뜻이다.로빈슨은 백악관을 대상으로 AI 정책 컨설팅 업무를 담당한다.
글로벌 업무팀은 오픈AI가 직면한 규제 자체를 다루지는 않는다.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에 180억 달러를 투자하는 것에 대해 미국 및 영국 규제 당국이 제기하는 문제는 법무팀이 다룬다.대신 글로벌 업무팀은 AI 법안 자체에 초점을 맞춘다.
오픈AI가 글로벌 업무팀에 공을 들이게 된 계기는 유럽연합(EU)이 세계 최초로 지난 3월 AI 규제법(AI Act)을 마련하면서다.AI 규제법의 핵심은 AI를 위험도에 따라 4등급으로 나눠 차등 규제하는 것이다.AI를 정해진 규범 안에서 사용하면 인간이 AI의 영향력을 통제할 수 있다는 것이 골자다.만약 AI 관련 기업이 해당 법안의 규제를 위반하면 전 세계 매출의 최대 7%에 해당하는 과징금을 내야 한다.7월부터 EU 27개 회원국에 정식 발효되며,엔트리 코딩이후 단계적으로 도입돼 2026년 중반에 전면 시행된다.
오픈AI는 EU가 AI 규제법을 마련하기 전부터 EU와 논의를 진행했으나,오픈AI의 의중은 반영되지 않았다.FT는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는 AI 규제법 초안에‘높은 위험’을 제공하는 AI 모델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을 피력했지만,EU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오픈AI를 포함한 기업이 AI 규제법의 적용을 받게 됐다.
오픈AI는 EU가 AI 규제법을 마련하자 빌 클린턴 전 미국 대통령 캠프에서 일했고,에어비앤비 정책실장을 지낸 크리스 르헤인을 공공사업 담당 부사장으로 기용했다.이외에도 오픈AI는 구글에서 유럽 정책을 담당했던 산드로 지아넬라,메타에서 국제 정책 및 파트너십 책임자를 지낸 제임스 헤어스턴도 고용했다.
오픈AI의 대관 업무 담당 부사장인 안나 마칸주는 “우리는 인공일반지능(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이 모든 인류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는 것이 목표”라며 “단순히 회사의 이익만을 극대화한다는 게 목표가 아니기 때문에 규제 철폐라는 관점으로 문제 해결에 접근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오픈AI가 로비스트를 고용하고 대관 업무에 공을 들이는 것에 우려를 표시한다.오픈AI와 법률 관련 업무를 함께 했던 한 사람은 FT에 “오픈AI는 과거 AI 정책에 깊이 관여하는 사람들과 전문가를 모집했으나,지금은 평범한 기술 로비스트만 고용하고 있다”며 “기술 로비스트는 단지 거대 IT기업이 10년 넘게 해왔던 방식으로 입법 기관에 영향을 미치기를 원할 뿐”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