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축구 첫 월드컵
NO.2: 한국 축구 첫 월드컵
연어도 밀양 부근까지 올라갔지만 산란율 떨어져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35년간 바닷물과 강물을 가로막았던 낙동강 하굿둑이 열리고 낙동강 생태계는 어떻게 변화했을까.
8일 부산대 생명과학과 주기재 교수팀에 따르면 낙동강 하굿둑 개방 이후 뱀장어 등 특이종의 개체수와 길이가 변화한 것이 확인됐다.
주 교수팀은 낙동강하구 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와 공동으로 낙동강 하굿둑 개방 후 생태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약 5년간 매월 낙동강 생태계를 조사해왔다.
주 교수팀과 협의회는 환경부 조사가 계절별로 진행돼 생태계 환경 변화를 추적하기에 연속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민간 조사팀을 꾸려 낙동강 생태계를 관찰하고 있다.
주 교수는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역 형성 후 외래종의 분포 범위가 감소했고,축구 첫 월드컵기수종의 분포 범위가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하굿둑 상류에 생물 다양성이 많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주 교수는 특히 국제 멸종위기종인 실뱀장어(새끼 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에 주목했다.
대표적인 회유성 어종이자 경제적 가치가 높은 실뱀장어의 낙동강 상류 이동이 수문 개방 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주 교수는 "하굿둑 수문을 특정 회유성 어종(실뱀장어)의 생활사에 맞추어 조절해 줄 수 있다면 해당 종의 이동성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어 어업 활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낙동강에 재도입 실험이 여러 차례 진행된 연어의 경우 현 조건에서 산란 확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주 교수는 "연어가 상류로 올라가는 것까지는 확인되지만,축구 첫 월드컵밀양 부근에서 보에 막혀 산란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주요 지천의 어류 이동 연결성이 확보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낙동강 하굿둑은 완공된 지 35년 만인 2022년 2월 열렸다.
10개의 수문 중 9번 수문을 음력 보름과 그믐 대조기에 하루 2~4시간 정도 연다.대조기는 한 달에 두 번 바닷물 수위가 강물보다 높아지는 시기다.
열린 수문을 통해 강물보다 높은 수위의 바닷물이 낙동강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 기수역이 형성돼 생물 다양성이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