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error: Could not resolve: clients1.google.com (Could not contact DNS servers)
apbc 야구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정부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 정리에 나서면서‘반값’부실채권(NPL) 시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자금 여력이 있는 일부 시공·시행사(개발회사)뿐 아니라 외국계 자금이‘실탄 확보’에 나서는 등 기회를 잡으려는 움직임도 본격화되고 있다.시장에서는 불명확한 정리 기준 등으로 우량자산이 대거 부실화할 경우 자칫‘외국계 배만 불리는 일’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는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기관 NPL 규모가 43조7000억원까지 불어나자 NPL 전업사와 증권사가 NPL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올해 하반기부터 PF발 부실 현장이 경·공매와 NPL로 대거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금융권과 건설업계에서 PF 사업장 인수전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NPL 전담 조직을 만드는 대형 건설사와 개발업체도 등장했다.DL이앤씨는 올해 들어 주택사업본부 내 NPL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대형 NPL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분석하고 있다.금융사·시행사와 협의해 시공권 확보 여부를 판단하고 여건이 되면 적극 투자에 나설 계획이다.이를 위해 한국투자증권과 NPL 관련 약정을 체결한 데 이어 캡스톤자산운용이 설정한 캠코PF정상화지원펀드에 민간출자액 10%를 투자하는 약정도 맺었다.
또 다른 대형건설사는 최근 주택 부분 사업 인력을 NPL 분석에 투입했다.전통적인 도급 사업 인력은 줄이고 남는 인력을 NPL 사업에 투입해 시공권을 확보하겠다는 복안이다.SK디앤디 등 대형 개발업체도 최근 여러 NPL 현장에 대한 사업성 분석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한 대형 시행사 임원은 “대형 디벨로퍼 중 여건이 되는 곳은 부실사업장 인수를 준비 중이다”며 “현금 확보까지 끝난 곳이 있다”고 했다.
지난해 외국 자본의 국내 투자가 크게 증가하는 등 외국계 펀드의 움직임도 심상치 않다.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기업 CBRE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 자본의 국내 상업용 부동산 투자 규모는 2022년(17억달러)보다 35% 급증한 23억달러(약 3조1855억원)로 집계됐다.금융권 관계자는 “일부 외국계 가운데 선순위 채권자와 손잡고 고의로 사업장을 경·공매로 나오게 하려는 곳도 있는 것으로 안다”며 “금융당국 내에서도 외환위기 때 외국계 배만 불린 전철을 밟을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오상/이유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