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클로젯스토리지
지난해 韓 AI 투자액,1천400억원 규모…中·日 포함된 정부·민간 AI 투자 주요국서도 제'전 세계 인공지능(AI) 3대 강국(AI G3)'을 목표로 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투자 환경이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AI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미국과 영국은 민간 중심으로 활발하게 투자가 이뤄지고 있는 반면,우리나라는 투자 움직임이 활발하지 않아 일본·캐나다에 비해서도 뒤처진 것으로 분석됐다.
10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발간한 '글로벌 정부·민간 분야 AI 투자 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준 AI 투자를 선도하는 6개국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6개국은 미국·EU(유럽연합)·중국·영국·일본·캐나다로,이 중 미국은 전 세계 국가의 AI 투자 규모에서 6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며 압도적 1위에 올랐다.
미국은 마이크로소프트(MS)를 비롯해 오픈AI,구글 등 생성형 AI 시장 '강자'들을 품고 있어 투자 시장에서 상당히 유리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또 지난해 미국 정부의 AI 투자는 27억5천만 달러(약 3조8천87억원),민간 투자는 846억7천만 달러(약 117조2천680억원)에 달했는데 합산 액수는 전 세계 AI 투자액의 약 62%였다.
여기에 오픈AI,클로젯스토리지앤트로픽 등 생성형 AI 기업들에 대한 투자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는 점도 호재다.미국 벤처캐피털(VC) 중 하나인 세쿼이아 캐피탈은 보고서를 통해 "아마존웹서비스(AWS),구글,메타,클로젯스토리지MS 등 빅테크는 지난해 오픈AI의 챗GPT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AI 인프라에 막대한 투자를 했다"며 "빅테크의 투자는 연간 6천억 달러에 달하는 반면,수익은 아무리 높게 봐도 1천억 달러 미만"이라고 분석했다.
전 세계 AI 투자도 정부보다는 민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됐다.지난해 기준 전 세계 정부의 투자는 91억 달러로,클로젯스토리지전체 AI 투자에서 6%에 그쳤다.민간 투자는 94%인 1천328억 달러에 달했다.지난해 전 세계 정부와 민간 분야 AI 합산 투자액은 1천419억 달러로,2015년(329억 달러) 대비 4.3배 늘었다.
다만 전 세계적으로 민간 AI 투자는 전년보다 큰 폭으로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2021년 2천498억 달러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은 후 경기침체와 금리 인상,AI 시장에 대한 과열 우려가 확산되며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특히 미국에선 지난해 민간 투자가 2021년(1천600억7천만 달러)에 비해 거의 '반토막' 수준으로 줄었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AI 투자가 활발히 진행됐다.지난해 중국 정부의 AI 투자는 21억1천만 달러로,주요 6개국 중 정부의 AI 투자 비중(19%)이 가장 높았다.또 중국 정부와 민간(91억7천만 달러) 투자액을 합치면 112억8천만 달러인데,AI 투자가 많았던 2021년(243억 달러)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EU도 최근 들어 AI 투자 움직임이 다소 주춤했던 것으로 나타났다.지난해 AI 투자 규모는 134억9천만 달러로,클로젯스토리지2021년(217억2천만 달러)과 비교 시 62% 수준에 그쳤다.또 전체 투자에서 정부 비중은 9%가량인 11억9천만 달러로,3% 수준인 미국,영국에 비해선 많았다.
영국은 압도적으로 민간 투자가 많았다.지난해 AI 투자는 72억1천만 달러로,이 중 97%(70억 달러)가 민간 투자였다.일본은 2018년 이후 거의 꾸준히 30억~40억 달러 수준으로 AI에 투자 중인데,지난해에는 34억4천만 달러를 기록했다.캐나다는 지난해 AI 투자가 전년(92억1천만 달러)에 비해 큰 폭으로 줄어든 34억2천만 달러로 집계됐다.
한국은 주요 6개국 외 비교적 AI 투자가 많은 국가들로 이름만 올렸다.한국 외에 인도,사우디아라비아,싱가포르,이스라엘,호주 등도 함께 언급됐다.이들 국가의 개별 투자규모는 공개 자료의 불충분 등 이유로 소개되지 않았다.
김소미 NIA 선임연구원은 "한국의 경우 전체 국가 중 10위권 내 포함된다"며 "투자금액은 일본·캐나다 대비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설명에 근거해 우리나라의 AI 투자액을 20억~30억 달러 수준으로 추정하면,전 세계 AI 투자액의 1.5~2.0%에 불과한 것으로 예상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AI 정책관측소가 집계한 자료에선 다소 구체적인 수치가 나왔다.지난해 생성형 AI 분야에서 한국의 글로벌 VC 투자 유치 규모는 총 7천500만 달러(약 1천40억원)로,선두인 미국(163억900만 달러)의 217분의 1수준에 그쳤다.우리나라의 AI 투자 유치액은 미국뿐 아니라 유럽연합(5억5천900만 달러),클로젯스토리지중국(4억800만 달러),이스라엘(2억9천900만 달러)과도 큰 격차를 보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빅테크들의 AI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 움직임 속에서도 열외된 분위기다.실제 오픈AI와 앤트로픽은 이미 수조 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했고 프랑스의 미스트랄AI은 최근 6억 유로(약 9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기로 하며 총 10억9천만 유로(약 1조6천억원)의 누적 투자금을 끌어모았다.독일 알레프 알파도 지난해 5억 달러(약 6천500억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반면 한국 AI 스타트업은 조 단위는거녕 누적 투자 금액이 1천억원을 넘긴 곳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업스테이지(약 1천400여억원) 정도만 눈에 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기술 경쟁의 우열이 뚜렷해지면서 투자 양상 또한 소수 기업이 독점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분위기"라며 "AI 기술 개발 시 막대한 투자가 필요하지만 국내 투자 환경은 이를 충분히 뒷받침할 만큼 조성돼 있지 않아 기술 개발뿐 아니라 인력 확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도 국내 민간 투자는 지지부진한 분위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한국경제인협회가 최근 매출액 500대 기업 대상으로 '2024년 하반기 주요 대기업 국내 투자계획'을 조사한 결과 10곳 중 4곳(43.9%)만 AI 투자를 계획했거나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하정우 네이버 AI이노베이션 센터장은 지난달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 AI포럼 창립총회 및 기념 세미나'에 참석해 "AI에 대해 안전,안보 등 경계해야 할 부분이 물론 많다"며 "그러나 가장 위협적인 것은 이 같은 우려 때문에 AI에 대한 투자를 늦추고,클로젯스토리지결과적으로 AI 경쟁에서 뒤처지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은 스스로의 실력으로 AI 혁명을 진행하고 있는 몇 안 되는 나라로 꼽히지만,AI 민간투자는 이스라엘(3위)에 비해서도 한참 떨어진 18위에 머문다"며 "AI 3대 강국이 되려면 해외 빅테크와의 확연한 체급 차이도 극복해 나가야 하는데 투자 움직임이 소극적이어서 쉽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