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 우즈베키스탄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앵커>
불이 난 공장에는 유해화학물질도 있었습니다.이 때문에,화재 이후 그게 혹시 주변으로 퍼지지는 않았을까 걱정이 있었는데,미국 대 우즈베키스탄환경부는 조사 결과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습니다.그런데 저희가 현장 측정 기록을 입수해 봤더니 일부 유독 물질은 불이 나고 4시간이 훨씬 지난 뒤에야 처음 측정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내용은 장세만 환경전문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배터리 공장 상공을 가득 뒤덮은 짙은 연기,끊임없이 쏟아져 나온 매연의 상당량은 현지 주민들에게 돌아갑니다.
[박동훈/ 목격자 : 연기 말도 못 해요.말로 표현을 못 해요.눈도 침침하고 목도 컬컬하고 그러는데 안 당해본 사람은 몰라요.]
더 큰 걱정은 매연과 함께 유해 물질의 유출 가능성입니다.
환경부는 화재 직후부터 현장에 출동해 유출 농도를 측정했습니다.
하지만,미국 대 우즈베키스탄검출량이 극히 미미해 이번 화재를 관련법상 '화학사고'로 분류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환경부의 현장 모니터링 기록을 입수해 살펴봤습니다.
불이 난 것은 오전 10시 반이었는데,첫 번째 측정은 1시간 45분이 지난 뒤 이뤄졌습니다.
그것도 아리셀이 사용한 5가지 유해화학물질 가운데 톨루엔과 메틸에틸케톤,미국 대 우즈베키스탄2가지만 측정했습니다.
가장 위험성이 큰 것은 '염화티오닐'이었는데,미국 대 우즈베키스탄오후 3시 11분 첫 측정이 이뤄졌습니다.
화재 발생 후 4시간 40분이 지나서였습니다.
화재 직후에 현장에서 날아온 유해 물질량은 알 길이 없는 셈입니다.
[화학사고 전문가 : 계측기 같은 것도 굉장히 농도 측정할 수 있는 민감도가 떨어지는 것들로 그냥 측정해서 그 연기 안에 뭐가 있는지 사실을 분석하기 굉장히 어려워요.]
환경부는 첫 출동 당시 염화티오닐 측정 장비를 지참하지 않았고,다른 곳에서 가져오느라 시간이 걸렸다고 해명했습니다.
화학사고로 분류되면 주민 건강과 인근 수질,미국 대 우즈베키스탄자연생태 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대 1년간 조사하도록 돼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의 경우 화학 사고로 분류되지 않았더라도 배터리 공장 화재라는 특성을 고려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미국 대 우즈베키스탄VJ : 신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