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고스톱 바로가기 - 2024년 실시간 업데이트
올해 1분기 각각 116조·500조
고금리 기조가 수년간 이어지면서 건설·부동산발(發) 금융 불안도 높아지고 있다.건설·부동산 업종에서 연체 등 부실이 늘어나자 금융업계가 관련 대출을 꺼리면서 건설·부동산에 대한 금융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뤄지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한국은행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의원에게 제출한‘금융업권별 건설·부동산업 기업 대출 현황’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전체 금융권의 건설업과 부동산업 대출 잔액은 각각 116조2000억원,500조6000억원에 달한다.작년보다 각각 3.7%,4.7% 늘었고,다음고스톱 바로가기특히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위험성이 불거지기 시작한 2년 전보다는 각각 14.6%,다음고스톱 바로가기14.5% 급증했다.한은이 금융업권별로 나눠 업종 대출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최대 규모다.
대출 규모가 늘었을 뿐 아니라 부실 지표도 관련 통계를 작성한 9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특히 은행권보다는 저축은행,다음고스톱 바로가기상호금융(새마을금고 제외),보험회사,다음고스톱 바로가기여신전문금융회사 등 비은행권에서 연체율이 더 빠르게 오르고 있다.비은행권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중 1개월 이상 원리금을 연체한 연체율은 올해 1분기 각각 7.4%,다음고스톱 바로가기5.9%로,역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다.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각각 2.2배,다음고스톱 바로가기1.9배 올랐다.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건설과 부동산 업종에서 연체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이 업종에 대해 신규 대출이 나가는 경우는 줄이고 대출 심사를 할 때도 최대한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했다.
한은은 최근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부동산PF 익스포저는 현재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이 직면한 주요 위험 중 하나로,증가세가 둔화했지만 부동산 시장 부진 지속과 건설 원가 상승 등으로 부실 위험은 다소 증대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서 부동산 PF 위험 관련 질문에 “전체적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많이 줄었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몇몇 기관에 대해서는 우려하고 있다.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