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우니온 라 칼레라 대 콜로-콜로 순위
NO.2: 우니온 라 칼레라
NO.3: 우니온 라 칼레라 경기
NO.4: 우니온 라 칼레라 순위
NO.5: 우니온 라 칼레라 대 콜로-콜로 통계
NO.6: 우니온 라 칼레라 대 콜로-콜로
NO.7: 우니온 라 칼레라 대 콜로-콜로 라인업
NO.8: 우니온 라 칼레라 대 우아치파토 순위
NO.9: 우니온 라 칼레라 대 우니베르시다드 카톨리카 통계
NO.10: 오히긴스 대 우니온 라 칼레라 통계
한은 뉴욕사무소 주요 IB 전망 집계
9월까지 첫 금리인하 착수 예상
올해 성장률 2.4%·물가상승률 2.8% 예상미국 월가 주요 투자은행 10곳 중 6곳은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올해 금리를 2회 이상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금리 인하 전망 시점으로는 9월이 가장 유력했다.투자은행 대부분은 올해 미국 경제가 2% 초반의 성장률을 기록해 노랜딩(무착륙) 시나리오가 현실화하고,우니온 라 칼레라인플레이션 둔화 속도는 느려질 것으로 전망했다.
26일(현지시간) 한국은행 뉴욕사무소가 발표한 '2024년 하반기 미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에 따르면 월가 투자은행 10곳 중 골드만삭스,우니온 라 칼레라노무라증권,우니온 라 칼레라웰스파고,TD증권 4곳은 올해 Fed가 현재 5.25~5.5%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총 두 차례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씨티은행과 모건스탠리 2곳은 연내 기준금리를 세 차례 내려 총 0.75%포인트 낮출 것으로 봤다.
바클레이스와 뱅크오브아메리카(BoA),JP모건,우니온 라 칼레라도이체방크 등 4곳은 올해 금리 인하 횟수가 Fed 예상치와 같은 한 차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앞서 Fed는 이달초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공개한 점도표를 통해 연내 금리 인하 횟수 전망을 종전 3회에서 1회로 축소했다.
이에 따라 투자은행 10곳의 정책금리 인하폭 전망치 평균은 2023년 말130bp(1bp=0.01%포인트)에서 올해 6월 현재 45bp로 줄었다.Fed와의 정책금리 인하폭 전망 차이도 지난해 말 65bp에서 현재 20bp 수준으로 좁혀졌다.
Fed의 금리 인하 착수 시점으로는 투자은행 10곳 가운데 7곳이 9월말 이전을 꼽았다.11월 미국 대선 직전에 열리는 마지막 FOMC는 9월에 예정됐다.
한은 뉴욕사무소는 "주요 투자은행은 올해 정책금리 인하폭을 Fed와 동일하게 전망하거나 한 두 차례 더 인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며 "지난해 연말 전망과 비교하면 Fed와 투자은행 간 정책금리 인하폭 전망 차이가 축소됐고 투자은행 간 전망 차도 줄었다"고 분석했다.
올해 금리 인하폭을 둘러싼 투자은행 간 전망 차이는 물가와 노동시장에 대한 견해 차이에 기인했다.연내 2회 이상 금리 인하를 전망한 투자은행은 구인건수가 지금보다 감소하면 실업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또 가계조사 결과 경제활동 참가율이 하락하는 등 현재 노동시장이 기업조사 결과 만큼 강하지 않다고 진단했다.반면 1회 금리 인하를 예상한 투자은행은 주거비와 슈퍼코어 인플레이션(주거비 제외 서비스 물가) 상승률 하락 속도가 늦춰지면서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는 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봤다.
하반기 미국 경제 전망과 관련해선 누적된 통화긴축 효과로 성장률이 둔화되지만 침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전망했다.지난 20일 기준 77개 투자은행의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치 중간값은 2.4%로 나타났다.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집계됐다.투자은행들은 미 경제가 견조한 성장률을 달성하면서 침체 우려가 팬데믹(세계적 대휴앵) 이전 수준으로 감소했다고 평가했다.다만 씨티은행은 누적된 고강도 긴축 여파로 경제가 급격히 둔화하면서 연말 GDP 성장률 전망치를 -0.9%로 제시했다.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작년 말 대비 소폭 상향했다.20일 기준 56개 투자은행의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 상승률 전망치 중간값은 올해 2.8%,2025년 2.3%로 집계됐다.Fed 전망치(각각 2.8%,2.3%)와 같은 수준이다.
한은 뉴욕사무소는 "올해 하반기 미국 경제는 그간 누적된 통화긴축 효과 파급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고 특히 그간 미 경제 성장을 견인해 온 소비 성장세를 제약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물가는 상품 가격이 하락하는 가운데 서비스 부문 물가 상승률도 둔화해 점진적인 상승세 둔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