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테크모 월드컵 98 롬파일
NO.2: 마메 테크모 월드컵 98 롬 파일
무전기 등에 들어가…최장 20년 사용,보관 기간도 길어
완제품도 물 닿으면 폭발…군부대 사고도 비 온 뒤 발생지난 24일 경기 화성시 아리셀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는 포장작업을 진행 중이던 리튬전지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화재가 난 건물은 군용 리튬 1차전지를 제조·보관하는 곳이다.
25일 소방청 중앙긴급구조통제단의 화재 대응상황보고서를 보면 아리셀은 5종의 군납 전지를 생산하고 있었다.리튬 1차전지는 1회용이긴 하지만 작동 전압과 에너지 밀도가 높아 최장 20년까지 오래 쓸 수 있다.사용 온도 범위도 넓다.그래서 추위나 더위에도 고출력을 필요로 하는 통신장비의 전원으로 많이 쓰고,군에서도 무전기 전원 등으로 사용한다.
문제는 군에서 리튬 1차전지로 인한 화재,테크모 월드컵 98 롬폭발 사고가 오래전부터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2019년 리튬전지를 보관하던 경기 포천시 군부대(7월),테크모 월드컵 98 롬대전 군수지원단 창고(8월),테크모 월드컵 98 롬포항 해병대 창고(10월),세종 육군 군수사령부 종합보급창(12월)에서 폭발로 불이 났다.
강태선 서울사이버대 안전관리학과 교수는 “가정에서 쓰는 리튬 1차전지와 달리 군용은 용량이 크고,전시를 대비해 대량으로 재고를 보관하는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면서 “소방·환경 당국은 리튬이 일반화학물질이라 그다지 위험하지 않은 것처럼 접근하지만 용량이 커지면 문제가 달라진다”고 말했다.
지난해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군에서 2021년 1월~2023년 9월 사이 31건의 리튬전지 폭발 사고가 있었는데,테크모 월드컵 98 롬근거리 FM 무전기인 PRC-999K에 사용하는 리튬전지와 관련해서만 19건의 사고가 났다.PRC-999K용 전지는 이번에 화재가 발생한 아리셀과 비츠로셀이 함께 납품하고 있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더 조사해야 하지만 대용량의 군용전지를 다량 보관하고 있었다면 그에 맞춰 안전관리에 더 철저해야 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
강 교수는 “패키징에 문제가 있다면 비가 오거나 수분이 있으면 완제품이라도 불이 날 수 있다.완제품의 경우 안정화됐다고 보고 소방법의 관리대상에서 제외하면 사각지대가 발생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군부대에서 발생한 리튬전지 폭발 사고들도 모두 비가 내리거나 비가 온 직후에 발생했다.
과거 육군 군수사령부 종합보급창 화재 사고를 조사했던 나용운 국립소방연구원 연구사는 “리튬 1차전지는 양극과 음극이 가까워 보관 장소에 결로나 물,테크모 월드컵 98 롬습기가 있다면 쉽게 단락이 난다”면서 “1차전지는 장기간 보관하기 때문에 습기 등 환경 관리를 잘하지 않을 경우 단락에 의한 화재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화재 예방시설을 갖췄는지도 따져봐야 한다.화재 현장은 불로 인한 훼손이 심해 열감지 카메라와 온도 센서 등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번 화재로 리튬전지에 대한 불안전 우려가 커지면서 군도 리튬전지 보관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에 나섰다.국방부는 이날 “오늘 내로 장성급 지휘관 책임하에 리튬 보관시설의 안전 여부를 재점검하고 결과를 보고하도록 지침을 하달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