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로또 사주 편재
한경협,최근 5년간 시장 현황 분석…최대 구매 국가도 미국→중국 전환글로벌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이 중국 기업을 중심으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유통업계 진출 확대로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 적자 폭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지난 2018년부터 5년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 현황 분석'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은 2018년 2조 9천억 달러에서 지난해 5조 8천억 달러로 2배 수준으로 성장했다.이 기간 이커머스 시장의 연 평균 성장률인 14.6%는 전체 소매업 성장률인 4.4%의 3.3배 수준이다.
징동닷컴,알리바바,테무 모기업인 핀둬둬 등 중국 이커머스 주요 3사의 최근 5년간 매출 성장률(CAGR) 평균은 연 41%로 글로벌 전체 시장 평균치보다도 2.8배 높았다.
지난해 글로벌 전자상거래 회사들의 매출 순위를 살펴보면 1위 아마존(미국),2위 징동닷컴(중국),3위 알리바바(중국),4위 핀둬둬(중국),5위 쿠팡(한국) 순으로 중국 기업 3곳이 포진됐다.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의 국내 시장 진출이 확대되면서 한국 이커머스 시장도 큰 변화에 직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한국 이커머스 시장은 역대 최고치인 228조 9천억원으로 중국 3954조 2천억원,미국 1천521조 6천억원,영국 256조 3천억원,로또 사주 편재일본 252조 9천억원에 이어 세계 5위로 조사됐다.
지난해 한국의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구매액은 3조 3천억원으로 전년 대비 121.2% 증가했다.이는 1조 9천억원을 기록한 미국을 크게 상회하는 수치다.미국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14년 이후 줄곧 한국의 최대 이커머스 구매 국가였으나,작년 중국에게 처음으로 역전당했다.
한국의 해외 전자상거래는 2021년을 기점으로 구매액이 판매액을 앞질러 적자 전환됐다.지난해에는 적자 폭이 5조 1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활동하는 이커머스 플랫폼 월간 사용자 수 순위를 살펴보면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들은 지난해 이후 불과 1년 6개월도 안 된 시점에서 11번가,로또 사주 편재G마켓 등 한국의 주요 플랫폼들을 추월했다.
지난해 1월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순위는 쿠팡 1위,11번가 2위,G마켓 3위,티몬 4위,알리익스프레스 5위로 1~4위에 한국 기업들이 포진했었다.
지난달에는 쿠팡 1위,알리익스프레스 2위,11번가 3위,테무 4위,G마켓 5위로 중국기업에게 2위와 4위 자리를 내줬다.특히 작년 7월에 한국에 진출한 이후 1년도 되지 않아 4위로 올라선 테무는 3위와의 격차도 크지 않아 급성장세를 보였다.
한경협은 글로벌 e커머스 시장이 급속도로 변화하고,국내 시장에 대한 중국 e커머스 플랫폼이 국내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는 상황에서 ▲규제 중심의 유통 정책 개선 ▲소비자 보호 강화 ▲국내 중소 유통‧제조사 지원 등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선 국내 유통 기업의 활동을 제한해 역차별 논란이 있는 규제 중심의 유통산업발전법을 경쟁력 강화 중심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대형마트와 준대규모점포는 유통산업발전법에서 공휴일 의무 휴업과 영업시간을 제한받고 있으며,온라인 구매 배송도 동일하게 규제받고 있다.
또한 위해 식‧의약품,가짜 상품,청소년 유해매체,개인정보 침해와 같은 소비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국 온라인 플랫폼의 소비자보호의무 이행 현황 점검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특히 중국 이커머스 기업은 중국 국가정보법에 따라 이커머스 사업으로 확보한 정보를 필요 시 중국 정부에 제공해야 하는 의무가 있는 만큼 정보 유출의 우려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국내 유통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유통 플랫폼 고도화와 인프라 구축을 지원하고,중소 제조사 브랜드 제고와 품질 향상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