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체인 플러스
NO.2: 체인 소맨 점프 플러스
NO.3: 쇼 플러스 체인
NO.4: 애니 플러스 체인 소맨
전기연 차승일 박사 연구팀
유연 구조에 하이브리드 방식
태양 따라가는 신기술도 도입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차승일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박사 연구팀이 도시에서의 전기 자급자족을 실현할 수 있는‘신개념 태양광 모듈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도시 내부에서 태양광 발전으로 전기를 생산·활용하려는 시도는 많다.하지만 도시는 태양광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형태가 워낙 복잡하고 다양하다.
일례로 각종 건물이나 나무 등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의 일부에 그늘(부분 음영)이 생기는 현상이 반복되면 발전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체인 플러스전류가 내부적으로 막혀(핫스팟) 그늘로 인한 발열 현상(핫스팟) 발화점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할 전기연의 성과는 유연성·안전성·효율성을 모두 확보해 도시 환경에 최적화된 신개념 태양광 모듈을 개발한 것이다.연구팀은 지난 40년 이상 이어져 온 태양광 모듈의 소재부터 구조까지 모든 것을 바꿨다.기존 태양광 모듈은 태양전지를 보호하기 위해 비싼 강화 유리와 플라스틱으로 감싸는 적층 구조 형태였다.
차승일 박사팀은 유리 없이 실리콘으로 태양전지를 하나하나 밀봉한 뒤,체인 플러스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유연한 구조물이 되게 만들었다.모듈의 전기적 연결 형태도 기존 직렬 연결이 아닌,설치 환경에 따라 직렬과 병렬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방식이 가능하도록 했다.이는 수십 년간 고집된 태양광 모듈 제조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생각이었고,수년간의 연구 끝에 얻어낸 세계 최초의 결과다.
신개념 태양광 모듈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정적인 출력 유지와 안전성·유연성이다.이번에 개발한 모듈은 기존 가연성의 플라스틱을 난연 소재로 대체하여 전기 절연성과 내구성이 높다.또 직·병렬 혼합 구조는 태양광 모듈에 그늘(부분 음영) 문제가 생기더라도 높은 출력을 유지해주고,핫스팟 생성도 막아준다.
유연함은 종이접기처럼 가능한 수준으로 도심 건물은 물론 벤치,차광막 등 다양한 곳에 부착하여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다.뿐만 아니라 연구팀은 디자인적으로도 거리의 보도블록이나 욕실의 타일 구조와 유사한 테셀레이션(모자이크) 구조를 적용해 도시 환경에서 활용성과 적용성도 높였다.
연구팀은 태양광 모듈에 일명‘해바라기형’신기술을 도입해 효율성도 높였다.태양전지에 형상기억합금을 부착해 모듈이 태양 위치를 스스로 따라가며 모양을 최적으로 바꾸면서 전기를 생산한다.이를 통해 기존 편평한 태양광 모듈 대비 하루 전력 생산량을 60% 이상 높일 수 있었다.태양광 모듈에 별도의 시스템을 추가하지 않고,일체형으로 태양 추적 방식을 구현한 건 전 세계에서 유일하다.
차 박사는 “우리 기술로 도심 곳곳에서도 무한한 친환경 자원인 태양 에너지를 통해 직접 전기를 자급자족하는 일상이 펼쳐질 것”이라며 “국가적 이슈인 탄소중립 실현과 에너지 안보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고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 왕립화학회(RSC)가 발간하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지속가능 에너지와 연료’최신호에 표지논문을 비롯해 총 5개 논문이 게재됐다.구본혁 기자
애니 플러스 체인 소맨
:/최낙원 기자영업 시작 전부터 매장 앞에는 서류 가방을 든 30~40대 인근 직장인들 10여명이 줄지어 서있었다.
체인 플러스,할머니는 얼굴과 머리를 집중 공격당한 모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