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1: 하노버 시간
NO.2: 하노버 현지시간
NO.3: 독일 하노버 시간
▲ 대법원
여직원을 성추행한 혐의로 유죄를 받아 조합에서 제명된 조합장에 대한 처분이 정당하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습니다.
대법원 2부(주심 권영준 대법관)는 박 모 씨가 A농업협동조합을 상대로 낸 조합원 제명 무효 소송에서 지난달 13일 원심의 원고 승소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고법으로 돌려보냈습니다.
박 씨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A농협의 조합장으로 근무했습니다.
그는 재직 중 조합장의 지위를 이용해 직원을 추행한 혐의로 기소돼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았고,하노버 시간판결은 2021년 8월 확정됐습니다.
농협 정관에는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조합에 손실을 끼치거나 조합의 신용을 잃게 한 경우' 총회 의결을 거쳐 조합원을 제명할 수 있다는 조항이 있었습니다.
A조합은 이 조항을 근거로 2022년 1월 박 씨를 제명했습니다.
대의원 51명 중 48명이 참여한 투표에서 37명이 찬성했습니다.
박 씨는 제명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냈습니다.
1심에서는 졌지만 2심에서 결과가 뒤집혀 제명이 무효라는 판결을 받았습니다.
당시 2심 법원은 박 씨의 행위가 개인의 비위 행위일 뿐 '손실을 끼치거나 신용을 잃게 한 경우'라고 볼 수 없고,하노버 시간여기서 신용은 경제적 신용으로 좁게 해석해야 하므로 제명이 부당하다고 봤습니다.
대법원은 그러나 "이 사건 제명 결의가 적법한 사유 없이 이뤄졌다거나 사회 통념상 현저하게 타당성을 잃어 징계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며 제명이 정당하다고 판단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피고(농협)의 존립 목적은 경제적 이익이나 활동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영역을 포함한 조합원들의 지위 향상에 있다"며 "조합의 존립 및 유지에 필수적인 사항을 이행하지 않은 행위뿐 아니라 이런 목적에 저해되는 행위도 제명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정관에 적힌 '신용'을 반드시 경제적 신용으로 한정할 필요가 없다는 게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박 씨의 범행은 일간지에 보도됐고 그가 구속되면서 조합은 보궐선거를 열어야 했는데,하노버 시간대법원은 이것이 "피고의 명예를 실추시킬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조합의 신용을 잃게 하는 행위이므로 쟁점 조항에서 정한 제명 사유에 해당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독일 하노버 시간
:이 중 군 입대 등을 이유로 휴학을 신청한 4명 외에 1,129명은 휴학이 승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하노버 시간,▲ 28일자 세계일보 건국전쟁 관련 기사한겨레 사설 "비리·돈봉투 의혹도 그냥 공천" 한겨레는 사설에서 "국민의힘 공천이 7부 능선을 넘으며 대략적인 윤곽을 드러내고 있지만, 민주당보다 잡음이 덜하다는 것만이 유일한 '자랑거리'인 것 같다"며 "한때 요란했던 인적 쇄신 주장은 온데간데없고, 비리 의혹을 받는 이들도 버젓이 공천을 받았다"고 지적했다.